🩺위절제 환자의 당뇨관리(#1/5), 혈당 조절이 어려운 이유 _위암 수술로 위를 70% 절제한 친구의 혈당 이야기

안녕하세요, 당톡입니다 😊
오늘은 조금 특별한 날인가 봐요.

사정이 어찌 되었건 고향 친구 모두(저 포함 3명)의 이야기를 하게 되네요.

이번에는 저의 오랜 친구이자, 현재 당뇨병과 고지혈증으로 투병 중인 친구 사례입니다.

 

그는 위암 수술로 위의 70%를 절제한 후 당뇨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혈당 조절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3월 초 저의 권유로 연속혈당측정기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모임에서  친구의 연속혈당측정기(CGM) 수치를 제 눈으로 확인한 후 심각성을 인식하고,

오늘 처방전의 내용을 확인 후 도움이 되고자 5편의 시리즈를 급히 작성하여 올립니다.  

 

친구야!

재검시 참고해서 상담하렴~~ 최대한 빨리~~  화이팅!~~


❗ 일반적인 당뇨와는 다른, 위절제 환자의 혈당 반응

많은 분들이 “약 잘 먹으면 혈당은 조절된다”라고 생각하시지만,
위절제 환자에게는 그 말이 통하지 않습니다.

친구처럼 위의 70%를 절제한 환자
음식이 위에 머무르는 시간 없이 곧바로 소장으로 내려갑니다.

즉, 소화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게 되죠.
이것은 혈당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 위절제 후 발생하는 혈당 스파이크

위가 비정상적으로 작아진 상태에서는

  • 탄수화물이 거의 ‘씹자마자’ 흡수되고
  • 혈액 속으로 빠르게 포도당이 퍼지며
  • 인슐린 분비는 따라잡지 못하고 지연되면서,
  • 식후 혈당이 급격히 치솟습니다.*

이것이 바로 식후 혈당 스파이크입니다.
그의 연속혈당측정기(CGM) 기록에 따르면,
공복에 찐 옥수수 1개만 먹고도 혈당이 500mg/dL 가까이 상승한 적도 있었죠.


⬇ 하지만 곧바로 ‘뚝’ 떨어지는 혈당

혈당이 급상승하면 몸은 위기라고 판단해 뒤늦게 인슐린을 과다 분비합니다.
그 결과, 혈당은 다시 급속도로 떨어지게 되죠.

이 과정에서 당황스러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 손이 떨리고
  • 심장이 두근거리고
  • 머리가 멍해지는 느낌…

실제로 측정한 혈당은 120mg/dL인데도 말입니다.


🤯 저혈당 아닌, 상대적 저혈당 증상

이것은 ‘진짜’ 저혈당이 아닙니다.
의학적으로는 상대적 저혈당 반응이라고 불립니다.

📌 즉, _“혈당 수치는 정상이지만, 너무 빠르게 떨어질 때 발생하는 증상”_입니다.
이는 위절제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반응이기도 합니다.


⚠ 일반적인 당뇨 치료 방식이 통하지 않는 이유

친구는 당뇨 진단 이후 DPP-4 억제제와 메트포르민(서방정)을 복용 중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일반적인 치료제는

  • 혈당을 ‘천천히’ 낮추기 위한 약이지
  • 식후 30분 만에 혈당이 300 넘게 치솟는 패턴에는 대응이 어렵습니다.

특히 위절제 환자에게 서방형 약물은 흡수 지연으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더구나 혈당 조절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오히려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해결책은 ‘식사 리듬’과 ‘타이밍’의 재구성

약도 중요하지만, 이 경우에는
내 몸의 리듬을 다시 조율하는 일”이 핵심입니다.

그래서 저는 친구에게 이렇게 조언했습니다:

“식사는 채소로 시작하고, 단백질을 천천히 씹고,
탄수화물은 10~15분 뒤에 마지막에 먹어봐.”
“식사는 최소 20분 이상 천천히 하고, 식후 30분에는 꼭 걸어보자.”
“그리고 하루 중 혈당이 가장 많이 튀는 순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기록해 봐.”

그렇게 식사 순서와 속도를 바꾼 날,
CGM으로 측정된 식후 혈당은 이전보다 훨씬 낮은 170mg/dL 수준에서 안정되었습니다.


🧠 마무리 요약

위절제 환자의 당뇨는 평범하지 않습니다.

  • 빠른 소화,
  • 느린 인슐린,
  • 급격한 혈당 반응, 이 세 가지가 얽혀있기 때문에
  • 약 하나로는 절대 조절이 되지 않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사 구조와 리듬,
약의 타이밍,
그리고 혈당 반응을 읽어내는 감각
치료의 핵심입니다.


📎 다음 편 예고:
[②편] 연속혈당측정기(CGM)가 보여준 진짜 혈당 곡선에서는
친구의 실제 CGM 그래프를 함께 보며
'보이지 않던 혈당 리듬'을 읽는 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위절제 환자의 혈당조절이 어려운 이유에 관한 이미지

반응형